인구 10만 명 당 자살로 인한 사망자수
자살률 = (자살로 인한 사망자수 ÷ 주민등록연앙인구) × 100,000.
모든 자살이 삶의 만족도가 낮기 때문에 발생한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대체로 삶의 만족도와 자살률은 서로 관계가 있다.
- 자살률은 1998년 외환위기 시기에 크게 늘었고(1997년 13.2명에서 1998년 18.6명) 2000년대 들어 다시 증가하였다
- 2010년을 전후로 인구 10만 명당 30명을 넘은 적도 있으나 이후 감소 추세로 돌아서 2018년은 26.6명으로 집계되고 있다
- 자살률은 남자가 여자보다 두 배 이상 높고 나이가 들수록, 특히 70대 이상에서 높다
한국만의 독특한 특성
한국의 높은 자살률에 대해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고령 인구 및 단독 가구의 증가, 사회경제적 원인 등으로 높아지고 있다고 진단한다. 사회 전반에 걸친 자살 예방과 생명 존중 인식 확산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하지만, 이런 시각은 자살 문제와 관련해 한국만의 특성을 파악하지 못하고 범국민적 자살 예방 정책에 치중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사회에서 자살 문제가 중요한 이유는 자살 예방을 위해 국가 차원의 대응 체계가 있고 시행되는데도 다른 국가와 달리 줄어들 기미가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현재 한국 사회의 자살은 사회 구조적 요인과 개인적 요인 등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하고 있다.
한국적 자살 문제에 '물질주의 팽배'나 '생명 경시' 등의 추상적인 요인을 구체적인 개입 방안과 연결시키는 것은 무리가 있으며,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자살 사망자에 대한 심리적 부검 등을 통해 다소 시간이 걸리더라도 자살 원인과 경로에 대한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 1
심리적 부검(psychological autopsy)이란?
자살자의 주변 인물 인터뷰 등을 통해 자살 당시 심리사회적 스트레스 유전성 질환 유무 평소 성격, 심리적 특성 등을 진단하여 살의 원인과 경로를 추적하는 방법
- 대표적 예로 핀란드는 1987년에 1397개 자살 사건에 대해 심리적 부검을 하여 자살 원인과 특징 등을 규명하는 조사를 실시하고 10년의 준비과정을 거쳐 1992년 세계 최초로 국가 주도의 '자살 예방 프로젝트'를 구축했다. 그 성과는 더디게 나타났지만 시행 20년 후 자살 사망률이 20% 감소했다
- 국내에서도 소수의 성인 자살 사망자를 대상으로 심리적 부검 연구들이 시행되었으나 유가족의 협조를 구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OECD 주요국 자살률과의 비교
한국은 다른 나라들에 비해 자살률이 월등히 높다. 한국의 자살률은 비교대상 국가들 가운데 최상위 수준으로 OECD 평균보다 두 배 이상 높다.
출처
통계청, 「사망원인통계」,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
통계청, 「사망원인통계」 각 연도,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 각 연도.
김호경(2015). 『자살 예방 커뮤니케이션』. CommunicationBooks.
- 김정수, 송인한(2013). 자살예방 국가전략 비교: WHO 프레임워크로 분석한 뉴질랜드, 미국, 아일랜드,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호주 및 대한민국의 국가전략. 보건사회연구, 33권 1호, 513~546. [본문으로]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천페이 | 구매방법, 가능 사용처 확인하기! (0) | 2020.07.28 |
---|---|
[아동학대] 증가하는 통계! 심각한 악영향들을 알아보자 (0) | 2020.06.19 |
북한산, 불암산 (판상 절리 형성) (0) | 2018.03.27 |
Baby shark (youtube: PINK FONG) (0) | 2018.03.26 |